오디오

방송용 오디오 인터페이스(오인페) 정리 - 24년 12월 기준(작성중) Ver0.11

김탄2 2024. 12. 3. 03:59

안녕하세요 닥터고블린 컴퍼니에서 세팅기술자로 근무중인 '김탄2'라고 합니다.

실제로 방송을 하고 계시거나, 저희쪽으로 세팅 문의를 주시는 분들을 보시면 자신의 용도와 맞지않는 오인페를 구매하시고 사용중인 경우가 많아 방송용으로 자주 고려되는 오인페들에 대해서 정리하여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방송환경은 전부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을 가정하여 설명드리고 있고, 각각의 오인페마다 특징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장비들의 특징들에 대해서 짚어보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몇가지 용어에 대해서 정리가 필요할거 같아서 먼저 용어에 대해서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용어정리
 - 트랙분리(채널분리) : 유튜브 업로드용으로 저작권 음악을 뺴두기 위해서 or 편집에서 사운드 편집을 쉽게 하기 위해 소리별로 트랙을 나누기 위해 OBS등을 설정하여 트랙분리를 함
   의도하는 만큼 적절한 플레이백과 라우팅을 지원하는 오인페가 있어야하며, 이 플레이백을 원하는 라우팅으로 지정가능해야 수월하게 설정이 가능함.


 - 플레이백(Playback) : 윈도우상에서 '재생장치'로 잡히는 채널들, 오인페 하나에 여러개의 플레이백을 지원해야 채널분리가 가능함
   * VB케이블, 포테이토미터 등의 가상 플레이백은 안정성의 문제로 고려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 이펙터 : 
   - 컴프레서(Compressor) : 큰소리를 압축시켜 작은소리와 큰소리와의 차이를 줄여줌, 목소리를 두껍게(앞으로 나오게)만드는 효과가 있어 전달력을 크게 높여줌
   - EQ(Equalizer) : 소리의 특정 주역대를 부각시키거나 줄여줌. 주로 목소리나 안좋은 소리가 나는 주역대를 컷하는 용도로 사용
   - 게이트(Gate) : 일정 볼륨 이하의 소리는 전부 자름(볼륨을 낮춰버림), 볼륨 임계값 이상의 소리가 들어오면 게이트(문)이 열리면서 소리를 수음하기 시작함
   - 리버브/에코(Reverb/Echo) : '공간계 이펙터'라고 부르는 효과들, 리버브는 소리가 울리는 공간의 느낌과 크기, 에코는 잔향(아...아....아... 하고 여러번 소리가 나는것)을 뜻함. 노래방송을 위해서 필수적인 이펙터임.

 

 -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 디지털 음악 작업에 필요한 것들을 모아둔 프로그램, 방송용으로는 주로 마이크에 '플러그인'으로 구현된 이펙터들을 설정하는데 사용함.
 라이브 방송 및 음성채팅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루프백과 라우팅을 지원하는 오인페를 사용해야 세팅이 가능함.
 RX Voise Denoise등의 잡음제거 플러그인을 사용해야할 경우 DAW사용이 필수적이므로 방환경에 따라 고려해볼 필요 있음


 - 루프백(Loopback) : 언급한 오인페들은 죄다 루프백이 가능하지만, 루프백이라고 다 같은건 아니여서 용도에 적절한 루프백과 라우팅을 지원하는 오인페를 고려해보아야 함
(참고 : https://kimtan2.tistory.com/2)


 - 라우팅(Routing) : 오인페에 존재하는 입력채널, 플레이백, 믹서등을 원하는 출력장치로 원하는 채널만 구분지어서 경로를 지정해줄 수 있는 기능
  라우팅이 자유로우면 원하는 소리만 스피커/이어폰/루프백 등으로 뺄 수 있게 됨


 - 
이어폰/스피커 분리 : 마이크소리가 스피커로 나올 경우, 스피커소리가 마이크로 들어가고, 그 소리가 다시 스피커로 나오는것을 반복하게 되어 소리가 찢어짐('하울링'이라고 부름), 그래서 스피커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이어폰용 출력과 스피커용 출력을 나누거나 제어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함(라우팅의 중요한 점)


방송용 오인페 목록

Arturia Minifuse 2(상), Arturia Minifuse 1(하)

  1. Arturia Minifuse1, Arturia Minifuse 2 (아투리아 미니퓨즈1, 미니퓨즈2) - O(원컴) / 이펙터 없음
    (다나와 국내 정품기준 최저가 미니퓨즈1 :169,000원, 미니퓨즈 2 : 225,000원)
    장점
     - 이펙터가 없지만, 라이브방송에서 DAW사용이 가능한 루프백채널을 지니고 있어 DAW로 마이크 세팅하여 사용이 가능함 
     - 에이블톤 라이브 번들로 증정함
     - DAW사용이 가능하면서, 검증된 제품중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이 가능한 오인페임.

    단점
     - 다만 스피커/이어폰분리 안됨, 업데이트 이후 루프백라우팅 부분적으로 가능(경로지정은 불가능하지만 업데이트로 볼륨조절 추가됨)
    - 채널분리 거의 불가능(Playback이 2개뿐이고, 하나는 루프백으로 바로 들어가는 채널임... DAW사용 포기하면 채널 분리용으로 사용가능하긴 함)


    Yamaha AG Series(1세대)
  2. Yamaha AG03 / AG06(야마하 AG03, AG06) - O(원컴)  / ▲(투컴) /
    이펙터있음(EQ, 컴프, 리버브(매우 약하다는 평 많음)) / DAW사용이 어려운 루프백(디코에서 사용불가능)
    (다나와 국내 정품기준 최저가 AG03 Mk2 : 248,000원, AG06 mk2 : 296,000원)
    장점
     - 그러나 사용이 매우 직관적, 방송에 필요한 기능(이펙터)들이 거의 다 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음
       -> 입문자에게 강추할만한 난이도 및 기능성을 보유중으로, 사용자에 따라 충분히 추천가능할만한 제품임

    단점
     - 하드웨어 스펙이 낮은편(프리앰프와 DAC 둘다 스펙이 좋지 못함)
     - DAW사용이 안되는 제한적인 루프백(Input Mix(LoopBack사용시 입력받은 모든소리+컴퓨터소리가 강제로 넘어오는 루프백)
     - 스펙에 비해 비싼 가격으로 예전보다 선호율이 많이 떨어지는 오인페
       -> 원컴으로 사용시 Input Mix로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송환경(+ 보이스채팅)사용에 큰 문제는 없음
       -> 투컴으로 세팅시 방송으로만 사용가능함(루프백 사용이 강제되어 송출컴/게임컨 둘다 디코사용 불가능하여 디코용 마이크를 따로 써야됨)
     - 게임컴 소리를 오인페로 받을때 아날로그 단자로 소리를 받으므로, 게임컴 볼륨이 작게 느껴질 수 있음
     - 사람에 따라 리버브가 매우 약하게 느껴질 수 있고 실제로 리버브가 약한편임(잔향을 매우 길게줘야 체감되는 경우가 많음)
    Yamaha AG Series(2세대), Mute버튼이 생기고 리버브의 품질이 좋아지고 usb C연결로 변경됨

    - 특이사항 : mk2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마이크 Mute버튼이 생겼음
     + Mk2로 넘어가면서 리버브의 품질이 올라갔으나, 리버브 자체가 약한게 거슬릴 가능성이 높음
     mk2는 OTG연결을 지원하므로 모바일방송(틱톡)용으로도 사용 가능함.(mk1은 아날로그만 지원, mk2는 아날로그, 디지털 둘다 연결 지원)

    (좌)io24, (우)io44
  3. Presonus IO24(프리소너스 io24) - ▲(원컴) / 이펙터 있음(EQ, 컴프, 리버브, 딜레이, 게이트(품질 안좋음)) / DAW사용가능 루프백(스튜디오원 증정)
    Presonus IO44(프리소너스 io44) - ▲(원컴, 투컴) / io24와 거의 동일하나 투컴소리 AUX로 받을 수 있음

    (다나와 국내 정품기준 최저가 io24 : 287,360원, AG06 mk2 : 260,000원)
    (해외 직구 구매시 특가타면 10만원 대에도 구매가능함)
    장점
     - 정품기준으로 비슷한 가격에 비슷한 라우팅 + 이펙터 구성을 가진 오인페가 없음
     - 스튜디오원 번들제공
     - DAW사용이 가능한 루프백 보유중(Playback 3개, 루프백 믹스 2개)
     - io44의 경우 투컴방송이 가능함

    단점
     - 하드웨어 스펙이 좋지는 못한편
     - 기본 이펙터(특히 리버브)의 품질이 좋지는 못함
     - 전용 드라이버 및 프로그램이 불안정함(3.6.4버전은 그나마 괜찮으나, 이마저도 불안정한편)
       (연결되어있으나 레벨미터 없음 등의 문제 종종발생)
     - USB안정성을 많이 타는 편임
     
    특이사항
    - io24가 스펙이 더 좋으나 원컴 방송만 가능
    - io44는 io24보다 크기가 작고 스펙이 안좋은대신 3.5mm TRS입력이 가능해 투컴방송 세팅이 가능함
     - 게임컴으로 마이크 분리해서 보낼 수 있는지는 확인 필요함


  4. Lewitt Connect2(르윗 커넥트2) - ▲(원컴) / 이펙터 있음(리버브 없음)
    - 루프백이 제한적(컴퓨터소리 바로 넘어감)
    - 초기 설정할때 자체 디노이즈, 오토게인등 기능이 있어 초보자 편의성 좋음


  5. Steinberg UR22C / Steinberg UR24C(스테인버그 UR22C, UR24C) - O(원컴) / 이펙터 있음(EQ(3band), 컴프, 리버브★, 게이트)

    이펙터(특히 리버브)가 매우 좋아서 아프리카 노래BJ들이 선호함, 매우 시원하고 깔끔한 리버브가 내장되어있음
    DAW사용 가능(대신 머리를 좀 잘 굴려야됨)

    전용프로그램으로 믹서 조절해야되는데 믹서별 트랙볼륨 링크가 안되어 조작난이도는 어려운편(초보자 기준 난해할 수 있음)

  6. Audient iD4 mk2(오디언트 iD4 mk2) -  ▲(원컴) / 이펙터 없음
    DAW사용가능한 루프백이지만 채널수가 너무 제한적이라 한계가 명확함
    + 플레이백이 부족해서 채널분리가 안됨
    하드웨어 스펙자체는 깡패라서 방송외에도 레코딩을 주력으로할 경우 고려해볼 수 있음

  7. Topping E2X2 OTG(토핑 E2X2 OTG) - O(원컴 / 투컴) / 이펙터 없음 / DAW사용 가능 루프백
    OTG이용해서 투컴방송 외에도 모바일 방송가능
    DAW를 따로 써야함(케이크워크가 무료니 고려해볼 수 있음)
    이어폰/스피커 분리가 안됨(대신 안쓰는 쪽을 프로그램에서 끌 수 있음), 추가적인 DAC를 사용하면 이어폰/스피커 분리가능
  8. Arturia MiniFuse 4(아투리아 미니퓨즈4) - O(원컴 / 투컴)
    안정적이고 이쁜 스칼렛4i4,
    가격대가 애매하고, 투컴용으로 더 좋은 오인페들이 많이 나와 사용해본적 없음, 입출력 및 라우팅자체는 투컴방송용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함.

  9. Lewitt Connect6(르윗 커넥트6) - ▲(원컴 / 투컴) / 이펙터 있음(컴프, EQ, 게이트, Ducker), 리버브 없음
    OTG이용해서 투컴방송 외에도 모바일 방송가능

    라우팅만 보면 쁘띠 베페급(믹서/인풋/플레이백 채널 자유이용권 있는 루프백 3개, MIX A, MIX B 각각 루프백 있음, 플레이백 4개(모노8개)

    매우 좋은 프리앰프(방송용 오인페중에서 최상위권 스펙, 방송외에도 레코딩이 주력일 경우 고려해볼 수 있음 )

    매우 불안한 안정성(문제없는 경우도 있었는데, 실제 세팅할때 문제빈도가 너무 많았음, 추가전원 공급 등으로도 해결이 안되는 문제임)

    Ducker는 다른 채널에서 소리가 올라오면 특정채널의 소리를 줄이는 이펙터인데, 내장된 오인페가 매우 적은편이라 경쟁력 있음
     (예시로 음악을 크게 틀다가 말할때만 볼륨이 작아지는 방법으로 사용가능함)

  10. Lewitt Stream 4X5(르윗 스트림 4x5) - O(원컴/ 투컴) / 이펙터 있음(EQ, 컴프레서, 리버브, Ducker)

    오래된 제품, 커넥트6보다 좋은점은 '리버브 내장' 이펙터가 있다는 점
     단점은 이펙터가 DSP가 아닌 소프트웨어 구동이라 세팅받은지 오래된 사용자들한테서 다이나믹스 적용 제대로 안되는 사례가 보고됨, 사후지원도 끝나서 이미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면 굳이 중고를 구하는건 그리 추천안함

    Ducker는 다른 채널에서 소리가 올라오면 특정채널의 소리를 줄이는 이펙터인데, 내장된 오인페가 매우 적은편이라 경쟁력 있음
     (예시로 음악을 크게 틀다가 말할때만 볼륨이 작아지는 방법으로 사용가능함)

  11. RODE STREAMER X(로데(로드) 스트리머 X) - O(투컴) / 이펙터 있음
    캡쳐보드가 내장되어 있다는게 큰 장점
    게임컴이나 콘솔소리를 HDMI로 받아와서 믹서에 편입하여 소리조절 가능함
    캡쳐보드와 올인원으로 투컴세팅이 편하다는 장점, 게임컴용 마이크를 따로 뺄 수 있는지는 테스트 못해봄
    RODE의 APHEX 음장효과가 체감이 많이 되는편
    실제 세팅에서 사용한적이 없으므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나올 수는 있음(일단 테스트할떄 문제는 없어서 추천해볼만 하다고 봄)

  12. Audient iD14 mk2(오디언트 iD14 mk2) - ▲(원컴 / 투컴) / 이펙터 없음
    DAW사용가능하나 '안정성 아쉬움'
    투컴방송 오인페로 가성비로 언급됬었으나... 안정성이 발목을 잡음
    그리고 usb로만 전원을 받아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으면 PC전원이 꺼지면 오인페 전원이 꺼지는데 이때 매번 마스터볼륨이 초기화됨(주로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설정하는데 이쪽이 매번 초기화됨...;;),

    usb버스파워가 안정성에도 크게 관여하여 USB연결이 불안정한 AMD등에서 불안정한 경우가 너무 많음(+ AMD시스템 사용시 CPU직결 레인으로 연결하면 iD프로그램 버벅이는 증상)

    + 투컴연결시 무조건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소리를 받아야 됨.(메인보드에 광출력이 없는 경우 따로 광출력이 가능한 사운드카드등을 사용해야됨)

    하드웨어 스펙자체는 깡패라서 방송외에도 레코딩을 주력으로할 경우 고려해볼 수 있음

  13. Audient iD24(오디언트 iD24) - ▲(원컴 / 투컴) / 이펙터 없음 
    가격대가 애매해서 데이터가 잘 없음, iD14mk2와 다르게 추가 전원 받아서 괜찮을거 같은데 사용해본적 없음, 루프백이 1개인게 아쉬운점

  14. Audient iD44(mk2) (오디언트 iD44) - O(원컴/투컴) / 이펙터 없음
    mk2아니여도 ADAT단자 자체 루프백으로 루프백8개 사용가능, 직접 사용해본적 없으나 동료 기술자 주력오인페중 하나였음(현재 E2X2 OTG로 넘어감)
    전원 껐다 켜질시 설정 날아가는 문제는 동일하게 있었다고 함

  15. TC-Helicon GOXLR Mini(티씨헬리콘 GOXLR 미니) - O(원컴 / 투컴) / 이펙터 있음(컴프, EQ, 게이트), 리버브 없음 /
    페이더가 있어서 설정이 끝난뒤 볼륨조절이 매우 용이한편
    리버브가 필요없으며 사용이 익숙치 않은 투컴초보 방송인에게 추천하는 오인페

  16. Yamaha MG12XU(야마하 MG12XU) - O(원컴 / 투컴) / 이펙터 있음(컴프, EQ, 리버브) /
    페이더 있음(아날로그 조작가능) -> 초기설정이 난해할 수 있으나 설정 끝나고 라벨지 붙이면 사용난이도 매우 쉬움
    덩치 너무 크다는 단점(27인치 모니터 2/3만함)
    채널분리가 안되는 라우팅
    투컴연결시 아날로그 라인입력으로만 연결가능, 사용자에 따라서 게임컴소리가 작다고 느껴질 수 있음
    (애초에 컴퓨터로 넘기는 소리 자체가 작은편이긴 하나 설정으로 해결가능)

  17. Steinberg UR44C - O(원컴 / 투컴) / 이펙터 있음(EQ(3band), 컴프, 리버브★, 게이트) /
    이펙터(특히 리버브)가 매우 좋아서 아프리카 노래BJ들이 선호함, 매우 시원하고 깔끔한 리버브가 내장되어있음
    DAW사용 가능
    투컴연결시 아날로그 라인입력으로만 연결가능, 사용자에 따라서 게임컴소리가 작다고 느껴질 수 있음

  18. Yamaha AG08 - O(원컴) / ▲(투컴) / 이펙터 있음(EQ, 컴프레서, 게이트, 리버브, 보이스체인저, Ducker, 맥시마이저)
    - 원컴으로 사용시 볼륨조절이 용이함
    - 매우 품질이 좋은 이펙터들 포함되어 있고,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있음
    - 투컴시 마이크소리 내보내기, 채널분리등 연결이 불편한 부분들이 너무 많음
    - 라우팅 자체는 괜찮은데, OBS에서 채널분리가 어려운 형태임
    - 크기가 비교적 큰편임
    - Ducker는 다른 채널에서 소리가 올라오면 특정채널의 소리를 줄이는 이펙터인데, 내장된 오인페가 매우 적은편이라 경쟁력 있음
     (예시로 음악을 크게 틀다가 말할때만 볼륨이 작아지는 방법으로 사용가능함)
    - DAW사용시 숨겨진 9/10채널 플레이백이 드러나는데... 실제 방송에서 DAW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라우팅임

  19. TC-Helicon GOXLR - O(원컴 / 투컴) / 이펙터있음(EQ, 컴프레서, 게이트, 리버브, 보이스체인저, 디에서, 리미터)
    사용이 매우 직관적이고 설정이 쉬운편 원컴, 투컴 둘다 설정이 용이함
    라우팅도 방송에 필요한 만큼 전부 적당하게 있음
    ★전동페이더 간지★(반쯤 농담으로 적었지만 실시간 볼륨과 조작이 매우 쉬움)
    몇년동안 수십 수백개 세팅했는데 기기 자체의 안정성도 매우 뛰어난편임
    이펙터의 품질도 평균이상은 하는 제품
    DAW사용도 가능함(대신 이펙터 사용을 포기해야됨)
     ->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투컴용 오인페로 매우 추천하는 제품

    단점
    마이크 입력단자가 1개뿐인점
    출력단자가 전부 3.5mm만 지원하는점, 스피커까지 사용하게 되면 게임컴으로 마이크소리를 내보내는데 아쉬운 부분이 존재함(세팅으로 해결 가능함)
    나온지 연식이 좀 된 제품이라 입출력 하드웨어 스펙은 좀 아쉬운편(프로그램은 TC헬리콘측에서 피드백받고 계속 업데이트중)
    GOXLR 2에 관련해서 트위터에서 피드백 모으는 중

  20. RME Babyface Pro FS - O(원컴 / 투컴) / 이펙터 있으나 품질이 낮은편으로 DAW사용추천
    매우 자유로운 라우팅과 루프백, 매우 높은 안정성, 매우 높은 확장성
    저 세박자를 동시에 만족하는 유일한 제품으로써 방송용 오인페 끝판왕으로 불림

    그러나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DAW, 토탈믹스의 개념이 너무 어려운 편으로 초보자들에게 마냥 추천해주긴 어려운 제품
    (세팅해주는 사람의 재량에 따라 좀더 직관적으로 세팅을 해줄 수는 있음)
    스트림덱에 연동하여 몇가지 조작을 쉽게 해주는게 가능함

    토탈믹스로만 가능한 라우팅이 필요할 경우 고려하는게 좋음(제품가격이 너무 높으므로)

    RME UCX급 이상의 베이비페이스 보다 상위권 제품의 경우 입출력갯수 만큼 라우팅과 연결성 확장성이 무한으로 넓어져서 따로 언급은 하지 않겠음(베페가 RME 하위라인업이므로)

    특이사항) AMD CPU + 큐베이스 사용시 라우팅제대로 설정해도 연결 안되는 문제 있음(재부팅하면 매번 새로 잡아야됨, 필자 외에 같은 증상 원격작업할때 똑같은 증상을 본적있음)


  21. RODE Podcaster Pro 2 , RODE Caster Duo - O(원컴 / 투컴) / 이펙터있음(EQ, 컴프레서, 리버브, APHEX)
    투컴연결은 OTG로 USB연결해서 가능함
    다만 트랙분리가 안되는 라우팅이라 트랙분리가 필요할 경우 아쉬울 수 있음
    대부분의 조작을 컴퓨터가 아닌 오인페 자체의 터치스크린으로 조작해야함
    페이더가 6개 있어서 원하는 채널 할당해서 사용하면 볼륨 조절은 용이한편
    RODE의 APHEX 음장효과가 체감이 많이 되는편

    Pro2와 DUO는 크기 및 확장성 차이로, 실 사용에 큰 차이가 없을 가능성이 높음

  22. 베링거 XR18 / MR18 - O(원컴/투컴) / 이펙터있음(EQ, 컴프레서, 리버브, 게이트)
    이펙터 매우 좋음(아프리카에서 노래자랑여는 개인방송스튜디오급 방송에서 많이 사용됨)
    매우 높은 확장성(매우 많은 입출력채널 갯수, Lan으로 연결하여 제어 가능한 오인페)
    다만 디지털로 조작하는 오인페라 실제로 볼륨 조절하는데 난해할 가능성이 높아 따로 컨트롤러를 연결하는걸 추천함(베링거 X-touch등)
    초기 세팅난이도가 매우매우 어려운편, 대신 세팅만 완료되면 사용난이도는 매우 쉬운편

  23. M-AUDIO M-Game RGB Dual - ▲(원컴/투컴) / 이펙터 있음(EQ, 컴프레서, 리버브)
    - 투컴용으로 연결가능, 이펙터도 다 있고, 페이더 4개있음, 직관적인 라우팅, 전부 3.5mm단자써서 필요한 케이블에 대한 입문장벽 낮음, 광입력도 지원하고, DAW사용도 가능함

    - 다만 '몇주~몇달에 한번꼴로 사용중인 플레이백 하나가 마비됨' -> 이거 하나 때문에 실제 세팅을 못나갔음
    (컴퓨터 출력 플레이백만 변경해주면 해결되지만, 발생시기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 발목을 잡음, 해당 문제가 아니였다면 쁘띠 GOXLR이 될 수도 있었는 제품)

  24. 베링거 Flow8(모바일방송용으로 좋음, 근데 조작하는데 휴대폰 1개 무조건 필요함), 직접 동작하는것을 보지 못하여 확인은 필요한데, 동료 기술자 말로는 모바일 방송에 추천해줄 만한 제품이라고 자주 언급됨.


    번외
     - 안텔롭(사용자들 프로그램에 치였다는 간증이 너무 많음)
     - Elgato WAVE XLR - "ASIO 안됨", 웨이브링크에서 가상채널 나눠주고 이펙터 쉽게 넣을 수 있는건 좋은데, ASIO안된다는 단점이 너무 명확함(필연적으로 딜레이 발생), XLR 마이크입력도 1개뿐이고, 스펙도 낮은편
     - Focusrite 스칼렛 / 클라렛 - X(추천안함, 4i4부터는 인심써서 ▲ )  / 4세대이상은 프리앰프 성능이 좋아서 깨끗한 소스를 원할 경우 녹음용 가성비, 방송용으로는 불안정한 드라이버, 제한된 루프백(4i4부터는 해결되는 문제긴함)




    고려하지 마세요(윈도우 환경에서 너무 안맞음, 아예 MAC전용으로 나온 경우가 많음)

     - Solid State Logic SSL 2(+) - 이펙터없는데 루프백 라우팅 안됨
     - Motu M2/M4 - 위의 SSL 2와 같은 형태의 루프백
     - MOTU UltraLite mk5 는 가능해보이는데 내가 안해봐서 Pass(직접 살펴봐야 알 수 있음)
     - Volt - 이하동문, 176/276은 컴프레서 있긴한데 그거말고 이펙터 없음
     - 아포지 Symphony 시리즈, Duet 시리즈 (방송용으로 윈도우에서 쓰지않는게 좋음)

    위의 제품들은 레코딩/음악관련 작업하는 사람들이 추천하는 제품들이지만, 라우팅과 루프백, 이펙터의 문제로 윈도우 환경에서 방송용으로 쓰기에 부적합했음
    MAC의 경우 CoreAudio 프로토콜로 DAW에서 라우팅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데, MAC에서 사용을 고려한 제품들은 윈도우를 고려안하고 제품들이 나옴.

 


글 자체는 더 다듬을 필요가 있지만, 일단 이해안되는 부분이나 궁금한 점에 대한 피드백을 받기위해서 공개로 두려고 합니다.

이후에 피드백내용 확인하고 수정할 예정입니다.

 

'오디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디오]방송에 루프백이 필수인건가요?  (1) 2024.10.09